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0

[React-Native] 프로젝트 android emulator 에서 실행하기

한동안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가 작동이 잘안되고 어렵게 느껴져서 잠깐 앱 공부를 안하고 있었는데 책도 있고 해서 다시 재개하려고 한다.. 공부 스타일이 어떤지 별로 생각해본적 없는데 역시 뭔가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따라하기 좋은게 제일 선호하는것 같다. 알게된것을 매우 간단하게 정리를 해서 기록해봐야겠다. 1. Emulator 실행해놓기 1. 상단의 메뉴에서 Tools > Device Manager을 선택한다. 2. virtual 에서 create device 버튼을 눌러서 적당한 device를 선택해서 형성한다. 필자는 pixel 3으로 설정했다. 3. virtual device가 형성이 되면 재생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에뮬레이터가 실행된다. 끝! 2. 프로젝트 파일을 실행하기 1. 우선 react-..

코테 준비

변형만 나와도 푸는것도 있고 약간 적용이 잘 안되는 느낌... 좀더 공부를 탄탄하게 해야할거 같다 지원서 쓰는데 영어 자격증 딴지 오래되서 낼수도 없고 미리미리 준비해야하나 보다 으아악 힘들어 +라인코테에서는 시험보면서 테스트케이스가 별로 안주어지는걸 처음 알았다... 알고리즘 공부할때 예외케이스까지 예상하면서 공부해야겠다. 역시 뭐든 쉬운게 없는 느낌

주절주절 2022.04.30

[깃허브 오류]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 main and test are entirely different commit histories.

Visual Studio Cod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깃허브에 연동해서 레포지토리에 업로드하려는데 분명히 업로드된 파일이 많은데 pull request하려고 하면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 main and test are entirely different commit histories." 이런 오류가 뜨고 pull request를 못하는 경우가 있다. 캡처를 못했는데, compare할게 없다는 메세지 밑에는 main and test are entirely different commit histories. 라 쓰여있고 정작 changed된 파일 여러개가 초록색 배경으로 있었다. 찾아보니까 Black Lives Matter 운동으로 ‘마스터(master)’, ‘슬레이브(..

[React-Native] 환경설정 및 프로젝트 생성

choco랑 이것저것 인터넷 보면서 설치하다가 시작화면에 welcome to React Native 떠야된다는데 안떠서 포기할까 하다가 bundle뜨면서 에뮬레이터에 화면 나타났다!!! 사실 생각보다 설치하는게 어렵고 프로젝트 구조도 생각했던 유니티같은 구조가 아닌거 같아서 설치 오류나면서 다른걸 할까 고민했다.. 다른것도 안해봐서 모르지만 kotlin이 많이 쓰이는것 같아서 고민했는데 일단 되었으니 이걸 계속 해봐야겠다. 에뮬레이터가 실행화면 같은건가..? app 개발에 대해 아는게 별로 없어서 알게되는대로 다시 내용 추가해야겠다. 이제 react-native 프로젝트를 하나 설치하려면 cmd에 react-native init "프로젝트명"을 치면 된다. 첫 프로젝트이므로 first_project라 지..

앱을 만들자

사실 이 카테고리를 만든 이유는 안드로이드 설치부터 막혔기 때문에.. 과정을 기록해야지해서 그냥 만들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이미 설치가 되어있는것도 신기한데(언제 설치한거지..?심지어 프로젝트가 있다) 설치가 되어있어서 처음 환경변수 설정하고 뭐가 다 순서대로 못하는 느낌.. 그래도 크로스 플랫폼 앱을 만들거라는 기대감으로 버텨보자...

[programmers] 카카오 프렌즈 컬러링북 (c++)

문제를 보고 백준 2468번 구역을 구하는 dfs 문제가 생각났다. 각 구역의 넓이(갯수)를 좀더 창의적으로 구해보고 싶은데 나중에 시도해봐야겠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ectorvisited; int dr[4]={0,0,-1,1}; int dc[4]={-1,1,0,0}; int m1,n1; int ..

알고리즘/bfs 2022.02.22

colab에서 양방향 LSTM으로 대화 의도 파악하기

FAQ 챗봇을 직접 구현하기 위해서는 input되는 사용자의 대화 문장의 의도가 무엇인지, 대화 내에 핵심 개체명이 있는지, 그리고 답변을 적절하게 생성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 대화의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하는것은 대화를 진행시키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기능인데, 양방향 LSTM 모델로 colab 실행환경에서 예측해보겠습니다. 1. 필요한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colab에서는 tensorflow를 최신 버전으로 지원해서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import 하여 사용할수 있는데, keras도 tensorflow 1,2에서부터 통합되어 tensorflow.keras 형태로 불러와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한가지 여담인데 colab에서 tensorflow가 자동 업데이트 되어서 원래는 잘 작동되었는데 갑자기 오류가..

졸업 프로젝트 2021.11.14

챗봇에서의 Mutinomial Naive bayes 알고리즘(다항 분포 나이브 베이즈), TF-IDF 적용

1. Multinomial Naive Bayes(다항 분포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 우선 다항 분포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전에,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이브 베이즈는 텍스트 분류를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류기로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에 속하지 않지만, 머신 러닝의 주요 알고리즘으로 분류되어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조건부 확률모델이다. 원리는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베이즈 정리에서 유도되었다. 베이즈 정리는 사후확률(Posterior Probability)=(가능성(Prior)*사전확률(Class Prior Probability)) /특정 개체가 나타날 확률(Predictor Prio Probability) 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이때 x를 형성하는..

졸업 프로젝트 2021.05.28

colab에서 mecab 설치하기

1. 설치하기 위와 같은 코드를 실행시켜 konlpy 의 mecab을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여러 메세지가 뜨는데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뜬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konlpy를 import 하여 mecab 형태소 분석기를 통하여 형태소 분석을 할 수 있다. 2. Mecab 사용법 우선 konlpy 홈페이지에 가면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지원하는 여러 형태소 분석기와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konlpy.org/en/latest/ 오픈소스 형태이어서 형태소 분석기가 쓰이는 상황에 따라 형태소 분석기를 비교해서 사용해 볼 수 있다. API 메뉴에서 Mecab class로 가면 간단한 예제와 함께 mecab으로 할 수 있는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mecab.morphs(sente..

졸업 프로젝트 2021.05.28
728x90
반응형